뻐꾸기 - 특이한 후손 번식
뻐꾸기 - 특이한 후손 번식
뻐꾸기의 몸 길이는 33센티미터 정도이고 113그램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있습니다. 외모는 맑은 잿빛이 도는 푸른색을 띄고 있으며 아래 쪽은 흰색 바탕에 회색 가로 무늬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5월에서 8월 사이에 울음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뻐꾸기는 유라시아도 있으며 이들은 겨울에는 아프리카, 동남 아시아로 이동하여 겨울을 납니다.
암뻐꾸기는 어떤 방법으로 인지 자기 알을 양어미 새가 낳은 알과 비슷하게 알을 위장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요. 덩치에 비해 작은 알을 낳으며 색깔은 갈색에서 녹색에 이르기까지 5가지 색을 띄며 여러개의 얼룩과 반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새끼가 자라면서 양어미의 알을 밀어 내어 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탁란을 할 때 어미 뻐꾸기가 양어미 새의 알을 먹어 치우거나 날아가면서 땅에 버리기도 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뻐꾸기 알은 12.5일이면 부화를 하는데 양어미의 알보다 먼저 부화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부화된지 10시간만 지나면 자기 몸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둥지에서 밀어 내려고 안간힘을 쓰게 됩니다. 등에는 민감한 공동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자기 몸에 닿는 다른 알이나 다른 새끼들을 무조건 둥지 밖으로 밀어내게 됩니다. 결국 다 밀어내면 둥지를 혼자 독차지하게 되지요.
앞도 못 보고 털도 안 난 어린 것이 어떻게 그렇게 하는지 신기할 다름입니다. 결국 양어미가 물어 오는 식사는 혼자 다 받아 먹게 됩니다. 먹이를 달라는 소리와 점점 커지는 덩치에 양어미는 쉴 새 없이 먹이를 잡아와야 하지요. 자라면서 둥지 가득 채운 덩치로 인해 누가 조금만 간섭을 해도 화를 내면서 쪼아대려고 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뻐꾸기는 탁란을 하기 위해 어떤 새를 양어미로 택할까요? 다양한 새들을 택하는데 한국에서는 멧새,할미새,종달새를 택하고 외국에서는 울새, 지저귀, 피리새 등도 양어미가 되는 것이 관찰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암 뻐꾸기는 자기를 길러 준 새의 종류를 기억했다가 이 다음 자기가 탁란을 할 때 동일한 종류의 새를 택한다고 합니다.
뻐꾸기의 탁란은 좀 좋아 보이지는 않지만 인간에게 해를 주는 유충들을 잡아 먹는 식성이 좋은 새입니다. 일부 나방들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무서운 보호색이나 꺼끌꺼끌한 털을 가지고 있어 다른 새들이 잡아 먹을 엄두를 못 내는데 뻐꾸기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하지요.
뻐꾸기는 두려워 하지도 않으며 송충이도 쉽게 먹어 치우며 흉칙하게 생긴 지네도 쉽게 먹어 치운다고 하지요. 뻐꾸기는 우리 인간에게는 익조입니다. 수컷은 '뻐꾹뻐꾹' 하고 울지만 암컷은 '삐삐삐삐'하는 소리를 냅니다. 나라마다 이름이 다르지만 우리 말로는 수컷의 울음 소리를 따라서 뻐꾸기라고 부릅니다.
'동물의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병[정신질환]에 애완동물이 도움이 되는가 (0) | 2018.07.14 |
---|---|
독사에게 물렸을 때 응급 조치 (0) | 2018.06.10 |
갑오징어의 위장술과 색깔을 바꾸는 능력 (0) | 2017.04.09 |
쿠싱증후군 증상 및 원인은 무엇인가
쿠싱증후군 증상 및 원인은 무엇인가
쿠싱 증후군이라는 병명을 처음 듣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이 질병은 단순한 비만으로 보기 쉬운데 사실은 질병으로 다른 비만과는 다른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특히 이 질병을 갖고 있는 분들 중에는 얼굴과 목뒤 그리고 어깨와 배에 피하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는 반면에 , 팔다리는 가늘어 지는 경향이 심합니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걸리는 확률이 높으며 주로 30-40대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지방변증[비열대성스프루] 증상과 치료 및 대처 (0) | 2018.04.28 |
---|---|
담낭암 증상 및 생존율 알아보기 (0) | 2018.04.21 |
비문증 / 눈 앞에 부유물들이 어른거릴 때 (0) | 2018.03.22 |
수면 장애 종류 알아보기 (0) | 2018.03.17 |
뇌혈관 질환 모야모야 병 알아볼까요 (0) | 2018.03.17 |
예술이란 무엇인가 / 인간과의 관계
예술이란 무엇인가 / 인간과의 관계
예술이란 무엇입니까? 예술의 정의를 알기 위하여 이곳 저곳을 찾아 보면 그 정의가 동일하지가 않습니다. 미(美)적인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 활동으로 정의한 사전이 있나 하면, 문자가 아닌 형태를 빌려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부드러운 표현 방법으로 정의한 사전도 있습니다. 사전마다 차이가 있으니 일단 정의는 접어두고 예술과 인간과의 관계는 무엇입니까? 예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예술의 정의도 이러한 인간과의 관계를 따져 보면 어느 정도 예술의 정의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예술이란 무엇인가 / 인간과의 관계
사람과 동물과의 차이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차이 중에 하나는 인간만이 미(美) 즉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동물은 아름다움을 보고 감동을 할 줄을 모릅니다. 동물이 아름다운 경치를 보고 감동을 받습니까? 동물이 아름다운 음악을 들으면 감동을 받습니까? 거의 그런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아름다움을 보고 감동을 받습니다. 이러한 감동을 통해 인간은 행복을 맛보며 깊은 감동을 받을 경우 눈물을 흘리기도 합니다.이러한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능력 때문에 사람은 오랫동안 이러한 아름다움을 인위적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러한 미(美)를 표현하여 다른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기 위하여 사람들은 여러가지로 노력해 왔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자기만이 느낀 아름다움을 색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결과 미술가들이 등장하였으며 역사적으로 유명한 미술가들이 탄생하였습니다. 그런가 하면 일부 사람들은 아름다움을 음률로 표현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훌륭한 음악가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움직임으로 표현하고자 하면서 무용가들이 등장하였고, 일부 사람들은 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면서 조각가가 등장하였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글로 묘사하면서 시인들이 등장하였는데 시(詩)는 그 특성 때문에 문학으로 분류하는 편이 더욱 강하기는 합니다. 이처럼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존재이자 이것을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면서 다양한 방법의 표현 방식이 등장하였습니다.
결국 이러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모든 창조적인 방법을 통 털어서 부르는 말이 예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예술은 인간과의 관계에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변천된 것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단순한 감상에서 작가의 생각을 읽어내야 하는 어려움 부면도 생기게 되었다고 할까요?
그러나 예술이 추구하는 미의 표현은 인간의 정서를 미화시키고, 정화시키고, 순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틀림없습니다. 하나의 조각상 앞에서 인간의 깊은 정신의 세계를 느끼기도 하고, 하나의 음악을 통해서 마음이 조용히 가라 앉기도 하고 흥분을 자아내기도 합니다. 한 편의 시를 읽고 우리의 마음은 맑고 깊은 감동을 받기도 합니다.
이러한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은 완전을 사랑하는 마음이요, 조화를 사랑하는 마음이요, 생명과 질서를 사랑하는 마음이요, 개성과 창조를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한 철학자는 말하였습니다. 예술과 인간과의 이러한 관계는 우리가 바쁜 생활을 하면서도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함을 교훈하기도 합니다.
미(美)에 대한 풍부한 체험은 인간의 정신을 심화 시키고, 우리의 정서를 아름답게 하며 우리의 인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잊지 마십시오! 인간은 미를 추구하는 존재입니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 예술을 사랑하도록 하십시오! 우리의 인생은 그만큼 풍부한 인생이 될 것입니다.
이전 글:
인권이란 무엇인가
신용회복위원회와 바꿔드림론
40대, 50대 실직 , 어떻게 할 것인가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을 망치는 5가지 습관 (0) | 2018.05.16 |
---|---|
고독을 극복하는 방법 (0) | 2018.05.08 |
성경의 황금률 - 오늘날에도 실용적인가 (0) | 2018.03.20 |
40대, 50대 실직 , 어떻게 할 것인가 (2) | 2018.03.16 |
여성의 진정한 행복과 미모 (0) | 2018.03.05 |